보험의 시각에서 살펴본 암 연재 시리즈의 4편 중 두 번째로 소개하는 본 기사문을 통해 최고의료책임자(CMO)인 Achim Regenauer 사의(社醫)는 향후 가장 흥미로운 발전이 기대되는 암 연구 분야 중 하나인 액체생검에 대해 포괄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일부 말기암과 관련하여 희망적인 결과가 도출되어 있는 가운데 통증 없이 조기에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액체생검은 더욱 광범위한 항암치료 및 회복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Regenauer 사의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핵심만 간추려 정리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의학적 설명을 일일이 훓어보거나 자극적인 헤드라인 속에서 그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습니다.
이러한 견해와 더불어 아태지역 생명보험 & 건강보험 사업개발 담당 책임자인 Sohila Kwan 역시 보험산업이 향후 10년 동안 유의미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 시대의 흐름에 어떻게 발 맞추어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해 귀중한 시장 인사이트 및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지금까지 암 진단은 병변 부위의 조직을 떼어내 검사하는 생체검사를 통해 종양의 유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이는 (때로는 수술이 필요한) 침습적인 검사 방식이며, (바늘을 삽입하여 천자하는 경우) 통증을 유발합니다.
반면, 액체생검을 통해 새로이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액체생검은 모든 사람들이 조기에 통증 없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암 검진 및 진단 기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검진 노력 증대 및 치료 결과 개선을 비롯하여 암 리스크의 감소 및 관리를 위해 생활방식 변화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관심 증대 역시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곧 보험사가 마주하는 리스크 뿐만 아니라 리스크에 대한 피보험자의 시각 역시 바뀔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흐름에 발 맞추어 피보험자가 필요로 하는 지원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보험사에게 이미 열려 있습니다. 즉, 단순히 보험 개시, 보험료 지급 및 보험금 지급 시점이 아닌 인생의 전 여정을 고객과 함께하며 지원하는 방향으로 보험솔루션을 근본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이며, 실제로 보험업계 내에서 이러한 전환의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고객들은 이제 보다 더 일찍 질병을 진단받고, 예방하며, 이로 인한 리스크를 관리하는 한편 최신 암 연구에 뒤쳐지지 않는 보장내용으로 안심할 수 있는 중대질병(CI) 보험을 통해 더 많은 가치를 누리고자 합니다. 보험사들 역시 이미 보장성 상품의 기본 보장내역과 더불어 질병 예방, 건강 및 웰빙 요소를 부가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생명보험사 및 건강보험사에 액체생검의 발전은 리스크이자 기회입니다.
한편, 액체생검을 받는 고객의 경우 본인의 건강과 관련한 민감한 개인 정보를 얻게 됩니다. 해당 정보를 어떠한 방식으로 요청하여 활용할 것인지 혹은 그리 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나 지침이 없는 상황에서 이로 인한 정보 비대칭성 및 데이터보호규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민감한 상황 등은 보험업계가 고민해야 할 사안입니다.
액체생검 그리고 이로 인한 보험산업에의 영향만 보더라도 생명보험 및 건강보험 상품의 “미래 경쟁력 확보(future-proofing)”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으며, 보험사의 사업 성장 및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여실히 드러납니다.
“미래 경쟁력 확보(future-proofing)”라 함은 미래를 예측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의 영향, 충격 및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중대질병(CI) 보험상품의 경우 최초 상품이 개발된 이후 핵심 원칙 및 구성 면에서 거의 변화가 없는 데다가 의학의 발전과 소비자의 건강 및 행동은 뗄 레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에 미래 경쟁력 확보는 보험산업에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액체생검과 같은 새로운 발전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미래에 대비하여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것은 시대의 흐름에 유의미하고 고객에게 가치를 선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상품의 범위를 변경하는 한편 현재 그리고 향후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가격을 책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같은 보다 광범위한 사안을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 변화 및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를 효과적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과거 데이터가 전무하거나 거의 없는 새로운 이니셔티브에 대한 관리 주기를 강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험산업이 중대질병(CI) 보험상품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진화를 거듭하는 리스크와 더불어 이러한 과정 중에 쌓이는 경험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고 이후 그에 따른 결과를 측정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솔루션에 대한 글로벌 경험과 새로운 상품을 제안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재보험사와 협업한다면 미래를 대비함에 있어 귀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artnerRe는 중대질병의 보장급부가 귀사의 사업과 고객에게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발전이 거듭되면서 암의 발견, 치료 및 관리 방식 역시 변화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당사는 고객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귀사에게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고객을 위한 재정적인 버팀목이 되어 줄 뿐만 아니라 고객의 건강을 관리하는 여정의 조기 투자 등을 통해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함에 있어 귀사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액체생검과 같은 의학연구의 성과와 발전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한다면 고객을 위해 보다 더 강력한 보험상품 및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어느 때보다도 확실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니즈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글로벌 의료 전문가와 함께 중대질병(CI) 보험상품의 문구, 설계 및 프라이싱을 지속가능한 측면에서 새로이 정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암을 검진하는 액체생검과 같은 의학적 발전에 대비하여 “미래 경쟁력을 확보(future-proofed)”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도 함께 살펴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사는 암보험의 보장급부를 니즈에 맞추어 적정한 가격으로 정비하기 위해 상품을 정의하는 기존의 문구를 결과에 기반한(outcome-based) 보장 문구로 대체하여 새롭고 혁신적인 보험상품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바 있습니다. 귀사의 파트너로서 이러한 보험상품을 함께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귀사가 고객과의 약속을 이행함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당사의 리스크 및 제품 관련 전문지식, 역량, 담보력(security) 및 장기적인 파트너십으로 뒷받침하겠습니다.
PartnerRe는 협업의 소중한 가치를 믿습니다. 귀사의 니즈, 우려 및 목표를 경청하고, 리스크의 분석 및 대응을 위해 협력하고, 귀사 및 귀사의 고객을 위한 기회를 모색하여 함께 실현하고자 합니다.
저희가 준비한 본 기사문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 길 바랍니다.
다음으로 준비하고 있는 본 시리즈의 세번째 기사문인 “제3부: 암 표적치료 –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을 향한 여정” 역시 곧 게시될 예정이오니 놓치지 말고 관심 가져 주시기 바랍니다. 제3부에서는 최초의 정밀의료 일상 적용 사례 등 여러 인사이트를 다룰 예정입니다.
당사는 파트너십을 통한 전문지식의 공유 및 고객사의 성공 창출을 추구합니다.
여러분과 함께 앞서 말씀드린 트렌드 및 컨셉을 논의하여 궁극적으로 귀사를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의 도출로 이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Hoyoung Kim, Client Partner, Korean Market, Life & Health, Asia Pacific
Achim Regenauer, Chief Medical Officer, Life & Health
Sohila Kwan, Head of Business Development, Life & Health, Asia Pacific
1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18-32844-x.pdf
2 Diagnosis of a medical condition that would never have caused any symptoms.
3 https://www.annalsofoncology.org/article/S0923-7534(21)02046-9/fulltext
4 https://www.ajmc.com/view/novel-blood-based-early-cancer-detection-diagnostics-in-development